시장 전망치 하회…차이신 제조업 메이저 바카라 50.4로 '3개월 만에 최저'
4월 비제조업 메이저 바카라는 50.4…"추가 경기부양책 필요성 여전"
"中 올해 성장률 3.5%대 그칠 것" 전망도…中, 물동량 통계 발표 지연
中 4월제조업 메이저 바카라 49.0…"관세전쟁 여파로 16개월만에 최대하락"(종합)
시장 전망치 하회…차이신 제조업 메이저 바카라 50.4로 '3개월 만에 최저'
4월 비제조업 메이저 바카라는 50.4…"추가 경기부양책 필요성 여전"
"中 올해 성장률 3.5%대 그칠 것" 전망도…中, 물동량 통계 발표 지연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권숙희 기자 = 중국의 경기 동향을 보여주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4월에 49.0을 기록, 미중 관세전쟁의 여파로 경기가 수축 국면에 들어선 것으로 분석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고율 관세가 세계 두 번째 경제 대국인 중국에 본격적인 타격을 주기 시작하면서 제조업 PMI가 16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4월 제조업 메이저 바카라가 전월(50.5)보다 1.5포인트 하락한 49.0으로 집계됐다고 30일 발표했다.
이는 시장 전망치(49.8)를 하회한 것으로 트럼프 행정부의 대(對)중국 145% 추가 관세 부과 전 중국 공급업체들이 서둘러 물량을 내보내던 상황이 이제는 마무리된 영향이라고 로이터통신은 짚었다.
기업 구매 담당자 대상 조사를 바탕으로 작성되는 메이저 바카라는 관련 분야의 경기 동향을 보여주는 지표다. 50보다 높으면 경기 확장, 낮으면 경기 수축 국면을 의미한다.
중국 제조업 메이저 바카라는 지난 2월 50.2로 올라서며 확장 국면으로 돌아선 뒤 3월에도 이를 유지했으나, 이달 들어 다시 수축 국면으로 전환하며 추가 경기 부양책이 여전히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했다.
중국 금융정보 제공업체 차이신(財新)이 이날 발표한 차이신 제조업 메이저 바카라는 50.4로 기준선을 웃돌긴 했으나 3개월 만에 최저 수준이었다.
차이신의 왕저 이코노미스트는 "중미 관세전쟁의 파급 효과는 2∼3분기에 점진적으로 나타날 것"이라면서 "정책 결정자들은 조속히 대응할 준비를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중국 국가통계국 홈페이지 캡처. 재판매 및 DB금지]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기업 규모별 메이저 바카라를 보면 대기업 49.2, 중형기업 48.8, 소형기업 48.7로 전달 대비 각각 2.0포인트, 1.1포인트, 0.9포인트 하락해 모두 기준선 아래였다.
제조업 메이저 바카라를 구성하는 5대 지수 중 생산지수(49.8, 2.8포인트 하락), 신규주문지수(49.2, 2.6포인트 하락), 원자재재고지수(47.0, 0.2포인트 하락), 고용지수(47.9, 0.3포인트 하락) 등이 기준선 아래로 나타났다.
공급자배송시간지수만 0.1포인트 하락한 50.2를 기록해 확장 국면을 기록했다.

[중국 국가통계국 홈페이지 캡처. 재판매 및 DB금지]
건설업과 서비스업으로 구성되는 비제조업 메이저 바카라는 4월 50.4로 전월(50.8)보다 0.4포인트 내렸지만, 확장 국면은 유지했다.
업종별로는 건설업 업황지수가 51.9로 1.5포인트 하락했고, 서비스업 업황지수도 50.1로 0.2포인트 하락했다.
제조업과 비제조업을 종합한 중국 4월 메이저 바카라는 50.2로 전월(51.4) 대비 1.2포인트 하락했다.
국가통계국은 "4월 이전까지 제조업이 빠르게 성장한 데다 외부 환경이 급변하면서 4월 제조업 메이저 바카라는 수축 국면을 나타냈다"면서 "무역환경 불확실성의 증가로 주요 경제국들의 제조업 경기지수도 대부분 '경기 수축' 국면에 머물고 있다"고 설명했다.
캐피털 이코노믹스의 황쯔춘 이코노미스트는 AP통신에 "4월 메이저 바카라 급락은 심리적 요인에 의해 다소 과장됐을 수도 있으나, 외부 수요가 줄어들면서 중국 경제에 점차 압력이 가해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정부가 재정 지출을 확대하고 있지만, 이러한 대응만으로는 경기 둔화 요인을 완전히 상쇄하기는 어렵다"면서 "중국의 올해 경제 성장은 3.5%에 그칠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국 당국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올해 5% 안팎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이런 가운데 중국 교통운수부가 매주 월요일 발표해온 항구 물동량 통계가 이번 주에는 이날까지 공개되지 않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은 지적했다.
미국이 이달부터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최소 145%의 상호관세를 추가 부과하기로 하면서 중국에서 미국으로 향하는 선적은 몇 주째 급감한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들어 처음으로 관련 통계가 예정대로 발표되지 않았으며, 중국은 다음 달 1일부터 닷새간 노동절 연휴에 들어간다.
다음 달 9일 발표되는 중국의 4월 수출입 통계는 미국발 관세 폭탄의 여파가 적용된 첫 무역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 국가통계국 홈페이지 캡처. 재판매 및 DB금지]
suki@yna.co.kr